일상

CGV가 또 가격 인상해서 찾아본 영화관 리스트

리형섭 2021. 4. 27. 02:35
반응형

 

https://youtu.be/LycwcPDZMog


안녕하세요. 함브릴라입니다.

 

영화를 사랑하시는 모든 분들 반갑습니다. 오늘 대한민국 영화 역사상 대단히 뜻깊은 일이 있었죠?! 바로 윤여정 배우님이 한국인 최초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습니다. 지난 해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에 이어 올해 윤여정 배우까지 우리나라 영화가 전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사람들 취미 중 하나가 바로 영화관에서 영화 보는 거 아니겠습니까? 저도 일주일에 한두번 꼭 영화관에 갔었는데 코로나 사태 이후로는 영화관에 자주 갈 수 없어서 너무 아쉽습니다. 

 

 

아니 근데 모두 힘든 이 상황 속에서 업계 1위 CJ CGV가 관람표 가격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이미 이번 달 4월 2일부터 천원씩 올라서 2D 영화 기준으로 주중 13,000원, 주말 14,000원이 되었습니다. 사실상 CGV가 올리면 롯데시네마도 같이 올리는 패턴으로 가거덩요?

 

물론 가격 인상은 자기들 마음인데 6개월 전인 작년 10월에도 천원을 올렸거든요! 인상 이유는 코로나로 인해 관객이 급감하면서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했는데 영화 산업이 한참 잘될 때도 가격 올리더니 명분이 없다 아입니까;;

 

더군다나 저희집 주변에만 CGV가 두 개나 있어요. 그래서 CGV매니아였는데 가격을 야금야금 올리니 괜스레 가기 싫은 맘이 드는 건 왜일까요.. 그래요... 사실 그 돈 없으면 안가면 되고 맘에 안들면 안가면 되는거죠... 그냥 집에서 편하게 넷플릭스로 영화 보면 되는데 그! 래! 도! 역시 영화는 영화관에서 봐야 제맛 아니겠습니까.

 

자 그래서 오늘 대기업 영화관 말고 또 어떤 영화관들이 있는지 한번 찾아봤습니다. 제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어서 서울 인천부천 영화관만을 찾았다는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먼저, 서울입니다.

 

1. 서울극장

 

1979년부터 종로3가에 터를 잡고 시작한 서울극장입니다. 위치는 종로3가역에 있고 총 11개관이 있습니다. 

 

 

관람료는 조조 6천원! 성인 기준 주중 9천원, 주말 만원입니다. 회원가입하시면 매주 월요일에 6천원으로 영화 볼 수 있습니다.


2. 대한극장

 

대한민국 영화의 성지, 충무로에서 1958년 개관한 대한극장입니다. 충무로역 나오시면 바로 있구요. 총 11개관이 있습니다. 

 

관람료는 조조가 주중 6천원, 주말 7천원, 심야는 8천원, 성인 기준 주중 9천원, 주말 만원입니다. 조조도 있고 심야도 있고 대단히 바람직한 영화관이네요.


3. 아리랑 시네센터

성북구에 위치한 아리랑 시네센터입니다. 위치는 성신여대역과 정릉역 사이에 있는데요. 지하철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어서 접근성이 조금 아쉽네요. 총 3개관이 있구요. 그중 1, 2관은 일반영화관, 3관은 독립영화 전용관입니다.

 

관람료는 조조 4천원, 성인 기준 주중, 주말 모두 7천원입니다.


4. 광화문 씨네큐브

 

광화문에 위치한 씨네큐브입니다. 특이한 건 흥국생명 건물 지하 1층에 있어요. 상영관은 총 2관이구요. 

 

관람료는 조조가 주중 7천원, 주말 8천원, 성인 기준 주중 만원, 주말 11,000원입니다.


5. 복합문화공간 에무시네마

종로 경희궁 근처에 있는 에무시네마입니다. 여기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전문예술단체로 미술관과 영화관이 같이 있는 복합문화공간입니다. 루프탑에서 앉아서 음료도 마실 수 있는 거 같고 거기서 보이는 경희궁 경치도 좋다고 하네요. 특히 영화관 같은 경우는 문체부에서 지정한 예술영화전문상영관입니다. 상영관은 총 2관입니다.

 

관람료는 조조 6천원, 성인 기준 주중, 주말 모두 9천원입니다.


6. 인디스페이스

종로 3가에 있는 인디스페이스입니다. 여기는 독립 영화 전용 상영관입니다. 아까 소개해드렸던 서울극장의 관을 하나 임대해서 영업 중입니다. 

관람료는 조조 6천원, 성인 기준 주중 주말 모두 9천원입니다.


7. 실버영화관

낙원상가에 위치한 허리우드 극장으로도 유명한 실버영화관입니다. 어르신들을 위한 영화관으로 상영작 모두 고전영화입니다. 물론 남녀노소 모두 입장 가능합니다. 

 

재미있는 건 관람료가 55세 이상이신 분들은 단돈 2천원, 성인 7천원입니다.


8. 필름포럼

신촌 연세대와 이화여대 사이에 있는 필름포럼입니다. 상영관은 총 2관이구요. 

 

관람료는 조조가 주중 6천원, 주말 7천원, 성인 기준 주중 9천원, 주말 만원입니다.


9. 라이카 시네마

서대문 연희동에 처음으로 생긴 극장, 라이카 시네마입니다. 여기는 상영관은 딱 1관이고, 좌석도 39석으로 소규모 극장입니다. 그런데 1:85 : 1 비율의 와이드 스크린에 7.1채널 돌비애트모스 좌석도 프리미엄급으로 설치했다고 합니다. 

 

관람료는 조조가 주중 6천원, 주말 7천원, 성인 기준 주중 만원, 주말 11,000원입니다. 서대문구와 마포구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1,000원 추가 할인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인천과 부천입니다.

 

1. 영화공간 주안

인천 주안역에 있는 영화공간 주안입니다. 상영관은 총 4관이구요. 제가 정말 좋아하는 극장인데요. 왜냐하면 여기는 매월 시네마차이나 인천이라고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무료로 중국 영화를 상영합니다. 이 중국 영화들이 보통 우리나라에서 개봉하지 않는 게 많기 때문에 중국 영화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아주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관람료는 주중 6천원, 주말 8천원입니다.


2. 애관극장

동인천에 위치한 100여년 전통의 애관극장입니다. 인천 분들에게는 나름 유명한 극장이죠? 상영관은 총 5관이구요. 개인적으로 여기 갈 때마다 사람이 거의 없어서 영화 굉장히 편하게 봤습니다. 동인천에 맛집도 많고 구경거리도 많으니까 영화도 보시고 맛있는 것도 많이 드시고 구경도 많이 하면 좋겠네요.

 

관람료는 조조 5천원, 심야 5천원, 성인 기준 주중, 주말 모두 7천원입니다. 가격이 참 좋죠?


3.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부천에 있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입니다.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부천은 매년 국제영화제를 개최하기 때문에 조그만한 도시에 영화관이 좀 많습니다. 특히 이곳은 만화박물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문체부 지정 애니메이션 전용상영관입니다. 지금은 코난이 상영 중이네요. 상영관은 1관이구요. 좌석이 386석으로 꽤 크죠? 

 

관람료는 성인 기준 만원입니다.


4. 판타스틱 큐브

역시 부천에 있는 한국 독립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는 판타스틱 큐브입니다. 위치는 부천시청에 있구요. 상영관은 1관입니다.

 

관람료는 성인 7천원, 부천시민은 5천원입니다.


제가 경기도에 살아서 제 주변 도시에 있는 영화관만 한번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영화관이 많아서 놀랐네요. 그래도 영화관은 CGV랑 롯데시네마 밖에 없는 줄 알았는데 우리 곁에 이렇게 영화관이 많다는 사실에 한편으로는 기쁘기도 합니다.

 

상영관이 적긴 하지만 상영관이 많다고 그만큼 다양한 영화를 보여주는 건 아니잖아요? ㅎㅎ 오히려 대형 영화관에서 상영하지 않는 영화가 중소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빨리 코로나가 끝나서 맘 편히 극장에서 영화 보는 날이 왔음 좋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다른 주제로 또 찾아뵙죠. 안녕히 계세요.

 

반응형